리스트

리스트

리스트에서 요소의 위치를 인덱스라고 하며, 인덱스를 통해 요소를 받아 오는걸 '인덱싱'이라고 합니다.
리스트의 인덱스는 0번부터 시작합니다. *추가로 인덱스는 -를 사용하여서 인덱싱할 수 있습니다.

# List (리스트)
numbers = [2,3,4,5,6,7,11]
names = ['jake','성재','KIM']

print(numbers)
print(names)

# Indexing (인덱싱)
print(names[1])
print(names[0] + names[1] + names[2])
print(numbers[1] + numbers[3])

# List Slicing (리스트 슬라이싱)
numbers[0:4] # 인덱스 0부터 3까지 짜른다.
print(numbers[0:4])
print(numbers[:3])
print(numbers[2:5])

# 인덱스 변경하기
print(numbers)
numbers[0] = 7
print(numbers)
리스트 함수
# 리스트 길이 재기
# len
print(len(numbers))
lists = []
# 인덱스 추가하기 
# append
lists.append(5)
lists.append(8)
print(lists)
print(len(lists))
# 인덱스 삭제하기
# del
numbers = [2,3,4,5,6,7,11]
del numbers[3] # 인덱스 3번 삭제
print(numbers)
# 특정 위치에 인덱스 삽입하기
numbers.insert(4, 37)
print(numbers)
리스트 정렬
# 리스트 정렬
numbers = [19, 13, 2, 5, 3, 11, 7, 17]
# 방법1 sorted
# sorted함수는 기존 리스트는 건드리지 않고,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 리턴 
new_list = sorted(numbers)
print(numbers)
print(new_list)
# 방법1-1 reverse
new_list = sorted(numbers, reverse=True)
print(new_list)

# 방법2 sort
# sort함수는 아무것도 리턴하지 않고, 기존 리스트 정렬
print(numbers.sort()) # None
numbers.sort()
print(numbers)
numbers.sort(reverse=True)
print(numbers)

for반복문

for 반복문

while 반복문과 for반복문은 상황에 따라 맞는 깔끔한 코드를 쓸 수 있다.

# for 반복문
# for i in []:
#     수행부분

Range 함수

range는 파라미터 1, 2, 3 버전이 있습니다.
range함수의 장점은 간편하고, 깔끔하다는 점 / 컴퓨터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입니다.

사전

여러 값을 모아 놓을 수 있는 자료형으로, 파이썬에서는 사전(dictionary)이 있습니다. "key-value pair"
리스트와 사전의 차이점은 순서라는 개념차이가 있고, 사전의 키는 정수형일 필요가 없습니다.

# 사전 (Dictionary)
# key-value Pair

my_dictionary = {
    5: 25,
    2: 4,
    3: 9
}

print(type(my_dictionary))

print(my_dictionary[3])
print(my_dictionary[5])

# 사전 값 추가
my_dictionary[9] = 81
print(my_dictionary)

my_family = {
    '나': 'jake',
    '회사': 'codeit'
}

print(my_family)

사전 활용
# 사전 활용법

my_family = {
    '엄마': '김자옥',
    '아빠': '이석진',
    '아들': '이동민',
    '딸': '이지영'
}

print('성태호' in my_family.values())

for value in my_family.values():
    print(value)
for key in my_family.keys():
    print(key) 

for key in my_family.keys():
    value = my_family[key]
    print(key, value)

for key, value in my_family.items():
    print(key, value)

파이썬 데이터의 비밀

Aliasing (가명: alias)

파이썬에서 어떤 값을 변수에 저장하면 이름표를 주는 것과 같습니다.

리스트와 문자열

리스트와 문자열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. 리스트는 어떤 자료형을 나열한 것이라면, 문자열은 문자를 나열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  1. 리스트의 인덱싱처럼, 문자열도 인덱싱을 할 수 있습니다.
  2. 리스트 슬라이싱처럼, 문자열도 슬라이싱을 할 수 있습니다.
  3. 문자열을 연결하듯, 리스트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.
  4. len함수로 리스트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, len함수로 문자열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다른점

  1. 리스트는 특정 인덱스를 변경할 수 있는데, 문자열은 특정 인덱스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.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