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시작하기
객체란?
객체란? 속성과 행동으로 이뤄진 존재입니다. 다시 말해서,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, 모든 것들이 객체가 될 수 있다.
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?
정의: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독립된 객체들과 그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파악하는 프로그래밍 접근법이다.
요약: 프로그램을 객체들과 객체들 간 소통으로 바라보는 것
객체지향적으로 설계했다 -> 모델링했다.
객체지향프로그래밍으로 프로그램을 만들려면
- 프로그램에 어떤 객체들이 필요한지 정한다.
- 객체들의 속성과 행동을 정한다.
- 객체들이 서로 어떻게 소통할지 정한다.
객체를 만드는 법
클래스와 인스턴스
객체의 틀을 만들어서 객체를 만든다.
객체의 틀 = 클래스 / 결과물 = 객체
클래스로 객체를 만든다. 클래스로 인스턴스를 만든다. (객체 = 인스턴스)
class User:
pass
# 서로 다른 인스턴스
user1 = User()
user2 = User()
user3 = User()
인스턴스 변수
# 인스턴스 변수 정의하기
# 인스턴스이름.속성이름 = '속성에 넣을 값'
user1.name = '김대위'
user1.email = 'captain@codeit.kr'
user1.password = '12345'
user2.name = '강영훈'
user2.email = 'younghoon@codeit.kr'
user2.password = '98765'
user3.name = 'jake'
user3.email = 'jake@codeit.kr'
user3.password = '78965'

# 인스턴스 변수 사용하기
# 인스턴스이름.인스턴스변수이름
print(user1.email)
print(user2.password)